Landscape paintings revisited in freedom through nature


Min Byung Jic (independent curator)

* 한글버전은 아래에 있습니다. Please scroll down for Korean version

Jo Jong Sung's latest exhibition is focused on the ⟨Landscape Seen from a Moving Perspective⟩ series of works featuring the artist's unique point of view and painting style with a notable change in ambiance. It may be the raison d'être of this exhibition which tells of the artist's recent activities and works in slight but special ways. The artist has committed himself to this series for quite some time, so it may be that he has become too proficient. Or it may be that the artist has been proverbially crouching or bracing in anticipation of something new, something different. None of those hints are obvious. They are subtle from the inside out, small but consistent and alive. In that sense, this exhibition points to possible future trajectories that Jo may take through these changes.

The artist's brush is skillful and graceful, yet the multiple perspectives merged into the canvas and the artist's playfulness conveys a dynamic tension. The artist's subversive playfulness adds vitality and motion to the calm. This is the beauty of the artist's unique moving perspective combining perspectives of the East and the West, with the artist’s own zest sprinkled for good measure. The Western perspective is of the observer, taking in a panoramic view from a singular point, taking in nature and landscape. It is visually diverse and composed with harmony. On the other hand, the Eastern perspective is of the traveling eye (遊目) and the wandering gaze (遊觀) which looks up-down and near-far. Jo brings the perspective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adds his own interpretation of perspective and painting technique. The artist's previous explorations of plural perspectives return here with the addition to the discovery of hidden perspectives that add further complexity. This complexity sustains an organic movement of the gaze across the artist's works, opening paths to new landscapes. There is more beyond the dynamic movement of the gaze; from planar to sculptural, reality to fantastical, finite to infinite, there is a dense array of in-between spaces that freely associate and create richly imaginative delight. This is why the gaze can enter the landscape to roam free and unfettered (逍遙). The shifting perspectives and their dynamic interactions are realized on the surface, but there is depth - sense of volume - in the canvas. Yet the multi-perspective dismantling and composing to create depth and imagery is not like the Western method. In order for the multiple perspectives to behave such a way, it must move fluidly across positions, angles, and plays with distances that are simultaneously high (高遠 - looking up), low (深遠 - looking down), and level (平遠 - looking into the distance), to create a multifaceted perspective. Jo seems to have added an imaginative perspective (想遠 - looking into the distance) that moves between reality and the imagined. As multiple perspectives pendulate between the near and far, reality and imagined, clear and obfuscated, folding and unfolding, dramatic tension builds. The landscape becomes dynamic, combining various perspectives and images. It may be an analogue with the principle of life, of the chi that flows in all things; the opposites circulating as it does in nature and in life. Sansuhwa paintings are the East’s analogue to the West’s landscape paintings, and Jo's works reflect this fact. Sansu (山水 - mountain and water) paintings juxtapose dissimilar concepts and image by their very definition - juxtaposition and harmonization of dissimilar - even opposite - things. Things rise and things flow downstream. Things are static and things continue to move. Things are rigid and fixed while some things are fluid and in flux. Some things are transparent; others opaque. Such coexistence of opposing images and meanings have been a key theme in the sansu tradition. This coalescence of disparate things creates a living landscape of heteronomic coexistence. They are not in a stalemate, but in a cyclical exchange and balanced harmony. The fluidity of the wind and the bright expansion of light is written into the very Sino-Korean character for landscape (風景), consisting of radicals that imply wind and sun ray. In that sense, sansu and landscapes are nothing more than movement where conflicting opposites move into a state of mutual relationship and harmony. In the least, they are something in between those opposites. Landscape paintings must be versatile and fluid in navigating the in-between spaces and dynamically combining opposites while conveying and accepting its true form - that is, if landscapes are to be portrayed vividly. The artist's moving perspective explores not only the in-between spaces but the hidden ones as well, strolling through and appreciating it. It wouldn't be far-fetched to guess that his works encompass these ideas. In that sense, the artist's work seems somewhat related to these old traditions of insight and piercing gaze. The artist's creative initiative and interjection leads it to another dimension - the way he has continued throughout his works.

The intricate details of his works are set into writhing motion; it could be my personal impression, but these resemble the artist himself. They also seem relevant to the artist’s life. His works are based on visceral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and his works convey images with vividness and authenticity. The artist’s works are of course based on more than just his experiences, as his imagination takes over here and there. Regardless, the added imagination does not make it conceptual, and the dimension of life and living are clearly important. Particularly as the artist seeks to represent traditional Korean sansuhwa - landscapes which consist our life-scape - that is our culture and idiosyncratic dispositions of the land and the people – must have played a significant part. Landscapes are more than an object to be gazed upon; when populated by and combined with an agent resides within it, the landscape comes alive. The artist’s works bring great pleasure in this way, beckoning the spectator to enter the frame and to promenade and appreciate it via the mind’s eye. This not only positions the spectator before the artwork, but also within the colorful space through the canvas frame and far, far beyond it. Because of this, the home as a space for living had a certain significance for the artist. The artist's ⟨Landscape Seen from a Moving Perspective⟩ series of works were inspired from outlandish ideas that he often has, but the pavilion is a negative space where its surrounding landscape draws the spectator into the architecture. Furthermore, it is probably in the same vein that this work is related to the artist's propensity for works that are associated with homes and houses. Our interest in living spaces proves that the artist's works are relevant to aspects of life and environment. In the way that the artist paints landscape, such life and environment as landscape are the sources of the artist's creativity. The mutual interplay completes it. So the artist's work captures even distant and non-existent landscapes, but it may somehow have felt up close. Because he was such an artist, I think that maybe his most recent life in Gyeongju, Gijang, in nature had a special significance for him. But in truth, if you listen to the story, the artist's life is quite ordinary despite his artistic practice. As a way to alleviate the awfully quiet rustic living besides his work in the studio, he grew chili peppers, broccoli, potatoes, bitter gourd, tomatoes, lettuce, and various other vegetables in his garden. He would sometimes quietly observe the insects that came to the garden. It seems that the garden was a place for Jo to not only find peace, but also to carefully observe and think about the meaning of life in nature. He raised the plants in his garden - most of them were for the dining table - and was surprised at the plants' growth. He began keeping record of his plants. Perhaps it was not just observations and record-keeping. Every misty morning stroll to the garden, he would be in awe of life's quiet growth and fantasize what strange things may have occurred overnight for such growth to occur. He probably asked himself if such fantasy warranted the drawing of such trivial things, such things that were growing in his heart. Even the most trivial and mundane things in nature embody the principles of life. The unaffected, uninterpreted state of landscape is nature. In this way, the artist realizes the ways of nature in everyday life, capturing nature itself on canvas in a way he has encountered in-person and not through a concept or medium of any sort. The changes seem trivial, but upon his artistic trajectory, I think they are heavy with meaning. There was contemporary novelty in his work, but also a consistent underlying discursive framework related to conceptual thought and gaze about tradition. These small attempts as an artist, changed recently, hold potential to completely break free of existing things and make possible meaningful things as an artist. Some aspect of this may not be novel; as there may also be an extension of the artist's continued interest in the aforementioned house and the environment. The houses we live in are not just objective spaces but a canvas for comfort and enrichment. We have no other mode of existence in reality but the mode of being rooted in it, and through our connection to houses, we are connected to a broader outside world. Homes are the cradle of the living, of life itself, also symbolizing the fundamental meanings of our known universe. The Sino-Korean characters for space or universe are 宇宙 (woo-joo). The first character signifies house/home (宇 - woo), as does the second(宙 - joo). The oriental way of thought seems to imply that there is something homely, or refuge-like about the universe. Greek for a living-place is oikos, a concept connected to eco, in all the nature-related terminology we use today. Jo Jong Sung's interest in the house and the home is likely relevant to the known-universe of our environment, to life, and the essence of the world in a broader sense. In this respect, the vague but discernible outlines and shapes of the house seen in the ⟨Landscape Seen from a Moving Perspective⟩ series of works might be serving as a portal to a more fundamental nature and world. By entering that portal, spectators step into another space, wander and plays to heart's content, a hint or a starting point for realizing the hidden meaning of the world. In terms of folding and unfolding something big from something small, somewhere far from somewhere near, something infinite from finite, the artist's recent attempts to reveal something transcendent and fundamental from the mundane and trivial, his recent works and previous works share a common theme. Ultimately, they embody the same principle of enlightenment. Just like the slender blades of grass and flowers of the field embody the mysteries of life. Moreover, this is not only about the concept of nature, but also the artist's own life and experiences. They are experienced as familiars, colorful and aesthetically pleasing - landscapes that energize us.

Unfortunately, not all of the artist's changes are presented in his latest exhibition. According to the artist, the full extent of this transformation will be revealed when the time is ripe. Even in the darkness of past nights, life was reborn through dynamic growth, as if it to show subtle but clear traces. This exhibition is also subtle in that way, and the artist's latest work ⟨When the Clouds Appear as a Landscape⟩ shows landscapes over the cloud as it hints at the possibility of artist's change. Why did the nebulous masses in the sky already captured by countless other artists as landscapes strike Jo any different? Perhaps the answer can be found in the fluidly changing form of clouds. Clouds enjoy a certain freedom from existing forms. As such, the work reads with the artist's subversion of existing theories and concepts, the intent of freely painting what landscape arises naturally from nature. Actually, maybe it is the artist's subtle confession that he sees nature itself – its mundanity - as landscape, and it was time to paint them as such, without much ado. It foreshadows a watershed moment. Come to think of it, the new works of ⟨Landscape Seen from a Moving Perspective⟩ seem to have hints of these free-form clouds. It is almost as if these changes are incarnated and in progress. In that way, Joe goes to a landscape that is light and comfortable, rather than heavy and serious, or what requires a lot of thought. In that respect, it seems that the artist is further introspective and intrinsically motivated. That is, he has reached another degree of freedom. Or perhaps the artist's agency is emphasized. Perhaps for these reasons, his cloudscapes display an individual in frame - a rare appearance for Jo - fishing leisurely. On the other hand, this freedom is not limited to personal things, and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broader world at large. This is because the broader and deeper essence of the world's meaning is found in the small and mundane. That is, from what is close and not afar, while grasping what is broader and deeper. Furthermore, it is a wonder that clouds which convey the artist's inner freedom are empty backgrounds left behind on the screen. It may be paradoxical, but such is the way of hidden secrets and hidden things that makes us acquiesce. In that way, the clouds in ⟨Landscape Seen from a Moving Perspective⟩ may not be actually drawn as clouds, but this changes nothing. It may be revealing some boundaries that transcend even the superficial forms. However, if you think about it, the artist has already created works that were free. They are also linked to old East Asian traditions, but without diluting meaning or status, finding ways to include things from the West, to change and create with contemporary sensibilities. This is because he does not shy from diverse experimentations, while not placing much weight on the traditional paintings' dense seriousness. He is literally free. From it, the artist's work gains a more sophisticated, flexible form and imagery, but a more nuanced inspection will reveal a variety of sceneries from a complex perspective. It can capture an uplifting experience of substance and style for paintings. A dignified, uplifting experience of joy that not only pleases the artist but the spectators who can roam freely within the canvas frame. There are several different instances of sense-freedom here; the coexistence of observed-experienced-remembered-fantasized spaces in addition to eclectic painting techniques of brushwork and paintwork, dimension-bending forms and imagery. In that sense, the artist's works are not overwhelmed by conceptual things. The unique and forthcoming unusually eye-catching colors seen in this exhibition seem to be linked to these aspects. Like the moon that shines ever more graciously in the dark of the night, the layered darkness of the ink surrounding the golden pigment creates a striking contrast. It also looks sophisticated. The contrast of these dark, brilliant, or ambiguous but lucid sensations create a dynamic impression with a sense of freedom. In the sense that different factors clash and raise a sense of tension and movement, it connects with a dimension of momentum. Moreover, as the artist has embodied the senses rather than leaning on only techniques and painterly materials, the message is transmitted free and fluently. Jo Jong Sung’s works have been changing again, but this exhibition aptly presents the artist's attitude toward freedom. As I have said repeated for all of them, it is more special in meaning because his latest works anticipate future possibilities beyond transformation. Through this freedom, the artist's landscape paintings seem to be constantly reborn into nature and the essence of things. This is because like nature itself, the artist continues to embody the essence and meaning of nature and life. Through it, the artist circumvents himself from the outside, presenting things that come to be on their own. What is freedom if not this? This freedom is akin to breaking the bondage of all influence and creating something entirely unique. The artist's works may originate from concepts and thoughts, techniques, material, and media, of the past or present, East or West, but in a way that traverses all. Leaving all that is not freedom, all that is the artist's own unique singularity, his works that are embodied through life. Jo Jong Sung may look back, but he lives with contemporary thoughts and senses with an invariable yet varied works.




자연과더불어다시, 자유로거듭나는풍경



민병직(독립기획)


*
특유의 시선과 화법이 도드라지는 작가의 주요 작업들인 ‘이동시점으로 본 풍경’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전시이지만 무언가 의미심장하게 사뭇 달라진 것 같기도 하다. 작가의 최근 근황과 신작들을 살펴볼 수 있는 이번 전시가 품고 있는 미세하지만 각별한 의미이기도 할 것이다. 이는 짧지 않은 시간동안 이들 연작들을 몸에 익혀왔기에 무르익어 한층 풍부하고 완연 해진 것도 있겠지만 이번 전시는 여기에 더해 작가에게 의미 있는 어떤 변화의 징조, 새로움의 가능성들도 엿볼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눈에 띄게 달라진 그런 거창한 변화는 아닌 것 같고 오히려 안으로부터 미묘한 변모의 씨앗들을 서서히 밖으로 외화 시키는 것처럼 작지만 지속적인 생성으로 거듭나고 있는 작가적인 새로움, 그 생생한 면모를 느끼게 하는 것에 가깝고 그런 면에서 이번 전시는 이러한 변화들로 달라질지도 모를 이후의 또 다른 궤적들도 가늠케 하는 것만 같다.

**
작가 작업은 능숙하고 유려한 필치가 형상화시키는 안정감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시선들의 결합과 그 자유로운 유희가 전하는 동적인 긴장감은 물론 작가의 엉뚱하기조차 한 상상까지 더해져 정중동의 생기, 활력마저 느끼게 한다. 작가의 독특한 이동시점의 묘미라 할 만한데 사실 이러한 이동시점은 동서양의 시점을 결합, 응용한 것이며 여기에 작가 고유의 방식을 더한 것이기도하다. 이성의 눈에 다름 아닐 관찰자의 중심적인 하나의 시선으로 그 대상인 자연, 풍경을 투시하여 파노라마와도 같은 시각적 다채로움과 조화를 구성하는 서양의 관점과 달리 동양은 위로 쳐다보고 아래로 굽어보며 멀리 바라보고 가까이 살펴보는, 이른바 유목(遊目), 유관(遊觀)의 방식으로 자연의 풍경을 담아낸다. 반면 작가는 이러한 동서양의 관점들을 취합하여 이를 다시 가로지르는 작가만의 독특한 시점, 화법을 펼쳐낸다. 기존의 다시점은 물론 숨은 시점의 발견들을 더해 한층 복합적인 시선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작가의 화폭을 보고 있노라면 이들 복합적인 시선들의 유동적인 움직임으로 한 형상에서 다른형상으로 옮겨가거나 그사이를 오가면서 또 다른 풍경들이 생겨난다. 단순히 동적인 시선의 움직임의 차원을 넘어서 평면에서 입체로, 현실에서 꿈으로, 유한에서 무한으로, 그 숱한 사이 공간들이 자유분방하게 만들어내는 상상 가득한 유희의 즐거움마저 느껴지는 것이다. 마치 시선으로 풍경의 안팎을 유유자적하게 소요(逍遙)하는 경험마저 하게 되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시선의 전환과 동적인 결합을 통해 평면상에 구현되고 있지만 입체적인 것 같은 느낌 또한 들게 한다. 하지만 대상을 다시점으로 분해, 구성하여 입체적인 형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서구의 방식과도 사뭇 다르다. 이를 위해서는 시선이 위치를 유동적으로 옮기며 다양한 방향, 각도에서, 곧 일찍이 곽희가 말한 삼원법의 그것들처럼 아래에서(高遠), 앞에서(深遠), 가까이서(平遠) 바라본 풍경을 종합적으로 만들어 내야 한다. 작가의 경우 마음으로 현실과 상상을 넘나드는 자유롭고 기발한, 이를테면 상원(想遠)의 시점까지 더해진 것 같기도 하다. 이렇게 가까운 곳과 먼 곳 사이를 오가며, 혹은 현실과 상상을 순환하여 뚜렷하게 나타나는 동시에 흐릿하게 사라지면서, 그렇게 펼치고 접혀지면서 서로 다른 극적인 긴장감이 형성된다. 그저 우리의 눈앞에 정태적으로 주어진 풍경이 아니라 시선, 형상의 다양한 측면들이 결합되어 역동적인 움직임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는 온천지에 흐르는 기의 움직임처럼 서로 다른 극과 극을 순환하여 다시금 거듭나는 자연의 이치, 생명의 원리와도 상통 할것이다. 풍경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한 산수의 본래 의미도 이를 함축하고 있다. 산과 물, 서로 다른 뜻과 의미로 이루어진 산수(山水) 개념 역시 대립된 것들이 서로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위로 향해 올라가는 높은 것과 아래로 흐르는 낮은 것, 움직이지 않고 계속해서 그자리에 있는 것과 끊임없이 움직이며 흐르는것, 딱딱하게 고정된 것과 유동적인 흐름으로 변해가는 것, 불투명한 것과 투명한 것, 이렇게 서로 다른 형상, 뜻이 대립되는 동시에 어울리는 것이 산수의 본래 의미이다. 이들 서로 다른 것들의 긴장감 있는 이질적인 공존, 결합이 살아있는 풍경을 만들어낸다. 단순한 대립이 아니라 끊임없이 서로를 순환하고 관계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바람의 유동적인 흐름과 환한 빛으로 확산하는 의미가 결합된 풍경(風景)의 뜻도 동적인 변화를 담고있다는 면에서 이와 연결될 수 있을것이다. 그런 면에서 산수, 풍경은 이러한 서로 상충된것들이 상호 관계를 이루어 펼치고 접어내는 어떤 움직임에 다름 아닐 것이다. 아니 그 사이에 자리하는 것들일지도 모르겠다. 그렇기에 풍경은 그본모습 을 전하고 받아들이는데 있어 이들 공간들 사이로 자유롭게 시선을 이동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역동적인 결합이 요청된다. 숨통이 튈 수 있는 생생한 풍경을 위해서라면말이다. 그 사이 공간을 향해, 숨은 시점마저 발견하여 거닐며 유희할 수 있도록 하는 작가의 이동시점에서 바라본 풍경이 비롯된 것도 이런 이유들과 무관하지 않을까 싶다. 그런 면에서 작가의 작업은 이러한 오래된 전통의 혜안, 통찰들과도 얼마간 연관되어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를 얼마간 염두하고 있는 것도 사실 이겠지만 이에 대한 개입과 작가만의 창의적인 방식을 통해 또 다른 차원으로 거듭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히 구별된다. 이는 작가의 작업 전반에 걸쳐 계속해서 진행되어 온 것들이기도 하다.

***
작가의 조곤조곤 세밀한, 하지만 그러면서도 꿈틀거리는 기운들마저 느끼게 하는 작품들을 보고있노라면 개인적인 느낌이 기도 하겠지만 이러한 면모들이 얼마간 작가 자신과도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또한 작가의 삶과 무관하지 않아 보이기도한다. 그렇게 작가가 몸소 겪고 관계한 것들을 바탕으로 한 작업들이었기에 더욱 생생한 느낌들, 진정성마저 전해졌던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물론 작가의 작업은 개인적인 체험을 넘어 작가의 내밀한 상상력마저 더해진 것들이기도 하지만 단순히 개념적인 것들만은 아니라는 면에서 이러한 삶, 생활의 차원은 중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나 우리 고유의 산수, 풍경을 구현하려는 작가에게 있어 우리의 삶과 문화를 이루는 환경, 혹은 풍토의 의미가 남다르게 작용하지 않았나 싶다. 풍경은 단지 시선으로 바라보는 객관적인 대상만이 아니라 그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 주체적인 것이 결합했을 때 더욱 살아있는 것으로 자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작가의 작업에서 마치 우리가 그 속에 몸소 들어가 맘껏 거닐고 자유롭게 유희하며 상상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그렇기에 관람자는 단지 작업 앞에 있는 것만이 아니라 작품 속에 끊임없이 이어지는 다채로운 공간들 사이로 옮겨가 노닐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작가에게 있어 우리가 거주하며 생활하는 집의 의미가 남다르지 않았나 싶다. 사실, 작가의 ‘이동시점으로 본 풍경’도 특유의 엉뚱한 발상들로 비롯된 것이기도 하겠지만 옛 그림의 빈 곳으로 자리하는 정자, 집 속으로 들어가 마치 거기에 살면서 바라본 듯한, 풍경을 상상하면서 만들어진 작업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 작업이 이동시점의 입체적인 집 작업으로부터 비롯되어 평면 작업으로 연결, 확장된 점도 그렇고 작가에게 있어 유난히 집과 관련한 작업들이 많은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우리가 그 속에서 살아갈수 있는 이러한 집에 대한 관심은 작가의 작업이 삶, 환경의 차원과 무관하지 않음을 반증한다. 작가가 풍경 을 빚어내듯 이러한 삶, 환경으로서의 풍경은 다시 작가의 작업을 만들 수 있는 바탕이자 원천들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이다. 그렇게 서로가 서로를 관계하면서 만들어간다. 그렇기에 작가의 작업은 먼 곳의, 있지 않은 풍경조차 담아내고 있지만 왠지 모르게 가까이서 자리하고 있는 것만 같은 생각이 들었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작가였기에 작가의 최근의 삶이기도 했을 경주, 기장에서의 생활, 자연과 더불어 지냈던 시간들이 더욱 각별한 의미를 더하지 않았나 싶다. 하지만 사실, 이야기를 들어보면 작가적인 삶 치고는 그다지 특별할 것도 없는 평범한 삶이기도 하다. 작업 이외의 다소 외로울 수 있는 적적한 삶을 달랠 방편으로 고추, 브로콜리, 감자, 여주, 토마토, 상추 등과 갖은 갖가지 채소들을 기르기도 하고 이따금씩 만나게 되는 곤충들을 유심히 살펴본 것이 어쩌면 전부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가는 이러한 평범한 일상의 삶 속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이들 자연, 생명이 전하는 것들을 세심히 관찰하고 사유했던 것 같다. 생활의 먹거리가 될 이들 재배 식물을 몸소 기르며 날마다 새롭게 생장하는 모습에 놀라기도 하면서 이를 작업으로 기록하기 시작한 것이다. 단순한 기록, 관찰만은 아니었던 것 같은데 아침마다 만나는 이들의 조금은 달라진 변화, 성장을 대하면서 생명의 경이로운 신비에 놀라기도 하고 대체 간밤에 어떤 신기한 일들이 벌어진 것일까에 대한 특유의 몽환적인 상상의 나래를 더하기도 하면서 이러한 사소한 일상의 것들을, 마음속에 품은 것들을 그려도 되는 것인지를 자문하면서 말 이다. 하지만 지극히 소소한 일상, 작고 미세한 자연일지라도 삼라만상 세상과 생의 이치를 담고 있는 법이다. 이 또한 그 자체로 진실한 자연의 모습, 풍경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이처럼 일상 속에서 자연의 경이, 생명 본연의 이치를 새삼 깨달으면서 머리로 이해한 풍경이 아닌 몸소 체험한 자연 그 자체의 풍경을 담아내기 시작한다. 작고 소소하다고 여길수도 있겠지만 작가적인 궤적에 있어 묵직하고 의미 있는 변화가 아닐까 싶다. 동시대의 새로움으로 다가왔던 것도 사실이지만 그동안 작가의 작업에는 직접적인 것은 아닐지라도 전통의 개념적인 사유, 시선과 관련된 일정한 담론적인 틀이 은연중에 작동 하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작가의 최근의 삶이 변화시킨 이러한 작가로서의 작은 시도와 모색들은 기존의 것들의 속박 아닌 속박에서 온전히 탈피하며 스스로 고유한것들을 가능케 하는, 작가로서 의미있는 변화의 가능성으로도 자리한다.

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변화만은 아니라고 할 수 있는데 앞서 말한 집, 환경에 대한 작가의 지속적인 관심의 확장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머물고 살아가는 집은 단순한 대상으로서의 공간이 아닌 우리의 삶을 편안하게 하고, 그렇게 더 나은삶으로 성장하게 하는 바탕으로도 자리한다. 세상 속에 뿌리박혀 살 수밖에 없는 우리로서는 이러한 집을 통해 더 넓은 세상과 연결될 수밖에 없을것이다. 삶, 생활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집은 세상이라는 크고 넓은 우주의 근원적인 의미들을 함축하기도 한다. 집, 우(宇), 집, 주(宙), 이렇듯 집이라는 뜻들의 결합으로 우주 개념을 풀이한 동양적인 사유만 봐도 그렇지 않나 싶다. 사는 곳, 생활하는 집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오이코스(oikos)가 환경, 생태의 에코(eco) 개념과 연결 되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따라서 작가의 집에 대한 관심은 삶과 무관하지 않는 풍경, 더 나아가 세상의 근원마저 담으려하는 지향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이런 면에서 ‘이동시점으로 본 풍경’ 연작들에서 볼 수 있는 어렴풋하지만 분명하게 다가오는 집의 윤곽, 형상들도 결국 이처럼 보다 근본적인 자연, 세상 속으로 우리를 이끄는 입구이자 통로, 일종의 문으로서의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지 않나 싶다. 작품을 통해 또 다른 공간 속으로 뛰어들어 그 안에서 맘껏 거닐고 유희하며 세상의 숨은 속뜻마저 깨닫게 하는 어떤 단초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작은 것으로 큰 것을,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을, 유한한 것으로 무한한 것들을 접고 펼쳐낸다는 면에서 일상의 소소한 작은 것들로 저 거대하고 깊은 세상의 근원적인 의미를 드러내려 하는 작가의 최근의 새로운 모색, 변화들도 이전의 작업들과 궤를 같이 한다. 결국은 매한가지인 같은 깨달음의 이치를 담고 있는 것이다. 저 들판의 가녀린 풀, 꽃들도 생명의 오묘한 비의를 품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더구나, 이는 단지 이러한 자연의 개념적인 의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삶으로 직접 체험하고 관계한 것들이기에 친근할 뿐만 아니 라 다채롭고 풍부한 미적인 즐거움으로 우리에게 끊임없이 삶의 활력을 얻도록 하는 그런 풍경들로도 자리한다.

****
하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아쉽게도 작가의 이러한 변화된 모습들 전부를 볼 수만은 없다. 작가의 전언으로는 더 깊고 완숙한 모습으로 무르익었을 때 세상에 선보인다고 하니 말이다. 다만, 지난밤의 어둠속에서도 생명은 그 역동적인 성장으로 거듭나 미묘하지만 분명한 흔적들을 못내 보여주듯 이번 전시 역시 조금은 달라진 변화의 어떤 징조들을 살짝 전하고 있을 뿐이다. 그런 면에서 둥실거리는 구름 위로 떠다니고 있는 것 풍경을 담고 있는 신작, ‘구름이 풍경으로 보일 때 쯤’ 작업이 앞서 말한 작가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은근슬쩍 암시한다는 면에서 각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숱한 작가들에게 이미 풍경으로 담겨졌던 저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이 왜 갑자기 풍경으로 보였던 것일까? 아마도 시시각각 그 모습을 달리하는 구름의 자유로운 형상 변화에서 그 이유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기존의 틀을 깨는 그 자유로움 말이다. 그래서 더 이상 그림을 둘러싼 기존의 이론, 개념에 묶인 풍경이 아닌, 스스로의 삶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풍경을 맘껏 그리겠다는 작가의 어떤 의지마저 읽혀진다. 아니, 일상의 평범한 자연의 자유자재한 모습이 비로소 풍경으로 보이고 이제는 이를 편하게 그릴때가 되었다는 은근한 고백이기도 한 것 같다. 작가적인 변화의 시점(時點)을 암시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고 보니 ‘이동시점으로 본 풍경’ 신작들에서도 이들 자유자재한 구름 같은 형상들이 어렴풋이 보이는 것 같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가 체화되어 이미 진행중임을 은근 슬쩍 드러내기라도 하듯 말이다. 그렇게 작가는 갖가지 생각들로머리를써야하는심각하 고무거운풍경이아닌, 가볍지만편하고여유로운느낌을전하는풍경으로향한다. 그런면에서더욱더내면화된, 자율적 인작가로서의면모마저도드라지고있는것만같다. 한결자유로워진것이다. 혹은작가로서의주체성의차원이더욱부각 되고강조된것이라고도할수있을것같다. 이러한이유들때문인지이들구름풍경작업에서작가의작품들에서좀처럼 볼수없는유유자적낚시를하고있는‘인물’이등장하게된점도의미심장하게다가온다. 한편, 이러한자유는개인적인 것에한정되는것만아닌저거대한세상전체와연결될수있는것이기도하다. 크고깊은세상의본원적인의미를작가 개인의삶으로일상화된, 작고미시적인것들에서찾는것이기때문이다. 멀리서가아니라가까이서, 그렇지만더넓고깊 은곳까지담아내면서말이다. 여기에더덧붙이자면, 작가의내밀한자유로움을전하는이들구름이화면속에서남겨진, 비어있는바탕이란사실도신기할따름이다. 역설적이지만결국은고개를끄덕이게하는세상의숨은이치, 비의가그러하 듯말이다. 그런면에서앞서말한‘이동시점으로본풍경’ 작업속의구름처럼보이는것들이설령구름으로그려진것이 아닐지라도매한가지일것이다. 그렇게가시적인형, 상조차넘어서는자연본연의뜻, 어떤경계(境界)마저드러내고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렇지만곰곰이생각해보면작가는이미자유로운작업들을펼쳐왔다. 동양의오래된전통들과연결되기도하지만, 그뜻 과격은잃지않으면서서양의것들을포함하여부단히동시대적인감각으로자유롭게변형, 생성하려했을뿐만아니라 다양한 실험적인 시도들마저 마다하지 않음으로써 옛 그림의 진지하면서도 무거운 의미의 두께에 머물고 있지 않기 때문이 다. 말그대로자유로운것이다. 이로인해작가의작업은세련되고유연한형상, 이미지들로어떤품격이느껴지기도하지 만자세히들여다보면복합적인시점이이끄는다채로운풍경들로신기하고재미있는, 유쾌한그림의멋과맛또한담아낼 수있지않았나싶다. 작가는물론보는이로하여금유유자적자유롭게노닐게하는격조있는즐거움말이다. 여기에현 실의관찰, 경험, 기억에상상적인가상공간들마저공존하기도하고전통적인필법, 화법을넘어서는다양한기법상의시도 들과평면에서입체를넘나드는다기한형상, 이미지들도감각적인자유로움이기도할것이다. 그런면에서작가의작업은 개념적인것들에만매몰되지않는데이번전시에서유난히눈길을사로잡는, 짙으면서도환한독특한색감도이러한면모들 과연결되는것같다. 칠흙같은밤에더욱더은은히빛을발하는달빛처럼, 겹쳐올린먹의두께감으로유난히더어둡 게발색된검은면과이와대비되는금빛안료의발산하는강한색감이무척이나감각적이기때문이다. 세련된느낌이기도 할것이다. 어둡지만밝은, 혹은그윽하여모호한듯하지만명료한이러한감각들의대비가동적이며자유로운느낌들을들 게하는것이다. 서로다른요소들이상호충돌하여긴장가득한강한운동감을형성케한다는면에서세(勢)의차원과연 결되기도한다. 더욱이이모든것들이그저기법과질료적인것들로비롯되는것만이아닌작가의몸에익은감각들로체 화되어구현된것이라는면에서자연스럽고, 또자유롭게전해지지않았나싶다. 그렇기에 최근 사뭇 더 달라지고 있는 것 같지만 이번 전시 역시 자유로움을 향한 작가의 모습을 여전히 살펴볼 수 있는데 모자람이없을것이다. 다만, 모두에서이야기했듯더욱더변모할이후의또다른가능성을예비한다는면에서좀더특별 한의미들을가지고있지않나싶다. 그렇게작가의풍경, 작업은이러한자유로움을통해, 자연, 본연의것들로부단히거 듭나고 있는 것만 같다. 스스로 그러할 뿐인 자연(自然)처럼 작가 역시 자연, 생명이 품은 본원적인 뜻을 작가적인 삶으로 체화시키는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외부적인 것으로부터 자기 자신으로 되돌아감으로써 결국은 스스로 말미암은 것들로 작 업을펼치려했기때문이다. 말그대로의자유(自由)인것이다. 이러한자유는어떠한영향이나속박으로부터의탈피하여스 스로고유한것을만들어가는것과상통하며그렇기에작가의작업은설령동서고금의갖가지개념적인사유들과기법, 매 체, 재료적인것으로부터비롯된것일지라도결국은이모든것들을가로질러, 자유로움에다름아닐작가만의특이한것들 (singularity), 작가적인삶으로몸에익어익숙하고편하게노닐수있는작업세계로계속해서되돌아가고있는것만같다. 그렇게뒤를돌아보기도하지만동시대의사유, 감각들로현재를살면서미래를향한지향들로한결같지만동시에늘같지 만은 않은 작업들을 펼치는 그런 작가로서 다가오는 것이다.